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이 시각, 청각, 촉각 자극에 대하여 어떠한 반응형태와 빈도로 반응을 보이는지를 각 자극이 장치된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자폐 범주성 장애 남자 유아 3명이며, 이 연구를 위하여 두 종류의 로봇이 사용되었다.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이 함께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이 선호하여 반응을 많이 보이는 것은 청각, 시각, 촉각의 순서였다.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은 선호하는 자극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반응을 하며, 교사가 지시를 하지 않아도 자발어를 발생하였다. 이러한 발견이 시사하는 것은 자폐 범주성 장애 유아들과 상호작용을 잘 할 수 있는 중재매체는 유아들이 선호하는 자극들로 구성될 때 유아들은 그 중재매체와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Research Interests
Data Mining & Machine Learning for Text & Multimedia; Brain-Sense-ICTConvergence Computing; Computational Olfaction Measurement; Simulation&Mod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