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time in webofscience Cited time in scopu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Yu, Seong Woon -
dc.contributor.author Jeong, Seol Hwa -
dc.date.accessioned 2017-05-10T08:52:54Z -
dc.date.available 2016-02-12T00:00:00Z -
dc.date.issued 2016 -
dc.identifier.uri http://dgist.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29497 en_US
dc.identifier.uri http://hdl.handle.net/20.500.11750/1466 -
dc.description.abstract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is a well-studied molecule for the control of cellular metabolism. In addition, AMPK can affect autophagy to sustain homeostasis. Adult hippocampal neural stem (HCN) cells undergo autophagic cell death (ACD) without apoptotic features following insulin withdrawal, therefore, insulin-deprived HCN cells are regarded as a genuine model for studying autophagy and cell death-related signaling mechanis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AMPK on autophagy regulation in HCN cells following insulin-withdrawal. Genetic and pharmacological activation of AMPK promoted ACD, while inhibition of AMPK yielded the opposite outcomes. These data suggest that AMPK can be a positive regulator of ACD in HCN cells following insulin withdrawal. ⓒ 2016 DGIS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1. Introduction 1 --
2. Materials and methods 5 --
2.1 Cell culture 5 --
2.2 Antibodies and reagents 5 --
2.3 Cell death assay 5 --
2.4 GFP-LC3 puncta assay 6 --
2.5 Western blot 6 --
2.6 Transfection 6 --
2.7 Sh-RNA Lentiviral system 7 --
2.8 Statistical analysis 7 --
3. Results 8 --
3.1 AMPK activator, A769662 increased cell death following insulin withdrawal. 8 --
3.2 Ectopic expression of AMPK constructs modulated cell death. 8 --
3.3 Silencing of AMPK reduced ACD in insulin-deprived HCN cells. 9 --
3.4 Cell death mode induced by genetic and pharmacological activation of AMPK was ACD, not apoptosis. 9 --
3.5 Suppression of autophagy related gene, Atg7 prevented ACD. 10 --
4. Discussion 11 --
5. Figure legends 13 --
6. Figures 16 --
Reference 24 --
Abstract in Korean 26--
-
dc.format.extent 27 -
dc.language eng -
dc.publisher DGIST -
dc.subject Autophagy -
dc.subject Adult hippocampal neural stem cells -
dc.subject Autophagic cell death -
dc.subject Insulin -
dc.subject AMPK -
dc.subject 성체해마신경줄기세포 -
dc.subject 인슐린 결핍 -
dc.subject 자가포식현상 -
dc.title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s a regulator of autophagic cell death in hippocampal neural stem cell. -
dc.title.alternative 성체해마신경줄기세포의 자가포식현상에서 AMPK의 자가포식현상 조 절자로의 역할 -
dc.type Thesis -
dc.identifier.doi 10.22677/thesis.2229497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장수 100세 시대에 이르며 퇴행성 뇌질환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뚜렷한 치료방법이 없어서 증가하는 환자에 대한 해결방안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는 것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표적 퇴행성 뇌질환인 알쯔하이머 치매나 파킨슨병과 같은 질병들은 신경세포들이 죽어서 수가 절대적으로 줄어드는 증상을 보인다. 자가포식현상은 포유류의 몸 속에서 대사산물로 발생한 몸에 필요치 않는 물질들을 없애기 위한 방법으로 세포 내 자기항상성에 기여를 하는 아주 중요한 과정이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 인해 체내 자가포식현상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으면, 많은 질병 특히나 퇴행성 뇌질환을 야기한다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중요도에 비해 정확한 자가포식현상, 궁극적으로 세포사멸 기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
본 논문은 성체해마신경줄기세포의 세포사 기전 중에서도 세포 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또한 비교적 이른 시간에 반응하는 AMPK라는 단백질의 자가포식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루었다. 성체해마신경줄기세포에서 인슐린 결핍 시 자가포식현상만이 일어나므로, 성체해마신경 줄기세포를 이용하였다. 이 세포에서 AMPK가 인슐린 결핍상황에서 일어나는 자가포식현상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순히 현상뿐 아니라 유전적인 방법과 약물처리 등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증가된 자가포식현상이 AMPK에 의해 조절된 것임을 증명하였다. 더 나아가 이 연구는 충분하지 못한 자가포식현상으로 인해 일어나는 퇴행성 뇌질환 또는 불필요하게 과활성화 된 뇌 세포에서의 자가포식현상을 조절하기 위해, AMPK 촉진제 또는 억제제를 사용한다면 치료제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2016 DGIST
-
dc.description.degree Master -
dc.contributor.department Brain and Cognitive Sciences -
dc.contributor.coadvisor Choi, Ji Woong -
dc.date.awarded 2016. 2 -
dc.publisher.location Daegu -
dc.description.database dCollection -
dc.date.accepted 2016-02-12 -
dc.contributor.alternativeDepartment 대학원 뇌인지과학전공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Jeong, Seol Hwa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Yu, Seong Woon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정설화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유성운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최지웅 -
Files in This Item:
000002229497.pdf

000002229497.pdf

기타 데이터 / 1.4 MB / Adobe 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Department of Brain Sciences Theses Master

qrcode

  • twitter
  • facebook
  • mendeley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