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time in webofscience Cited time in scopu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Moon, Che Il -
dc.contributor.author Ameer Abu Bakr Rasheed -
dc.date.accessioned 2016-05-18T05:37:38Z -
dc.date.available 2016-05-18T05:37:38Z -
dc.date.issued 2014 -
dc.identifier.uri http://dgist.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262511 -
dc.identifier.uri http://hdl.handle.net/20.500.11750/981 -
dc.description.abstract Olfactory impairment is a well-documented abnormality in Alzheimer’s disease (AD). AD is known to begin with abnormal processing of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through sequen-tial cleavages first by β-secretase and then by γ-secretase complex which leads to excess produc-tion of β-amyloid (Aβ) in the cortex. While olfactory dysfunction occurs in the incipient stages of AD even before Aβ deposition and plaque formation in the CNS, the functional correlation of olfac-tory deficit in relation to AD is not well understood. It may be critical to know the process under-lying AD-related olfactory sensory loss to find some novel biomarkers. To this end, two different types of transgenic mice models were used including Tg2576, which overexpresses human APP and Tg6799 (also called 5xFAD), which expresses human APP and Presenilin1 both mutations to-gether.
It was found unique APP processing in OE that has significance in providing not only pos-sible biomarkers that can be used for screening and detection of AD before plaque formation but also for treatment purposes.
This data demonstrates that the abnormal processing of APP in the OE provides APP fragments including 25 kDa, 55kDa and 80 kDa that can be a potential biomarker in the very early and critical period in the stag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that is, the critical stage of AD occurrence (before Aβ plaque formation in the CNS). Such biomarkers can be accessed via biopsy and can be used for establishing improved early diagnostic procedure for the AD. Additionally, PS2 increased level was found in OE that possibly involved in unique APP processing and might also be crucial for under-standing the γ-secretase role controlling AD through γ-secretase as a therapeutic target. ⓒ 2014 DGIS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INTRODUCTION 7
--
MATERIAL AND METHODS 11
--
1.1 Animals 12
--
1.1.1 Transgenic Alzheimer’s disease model Tg2576 12
--
1.1.2 Transgenic Alzheimer’s disease model 5XFAD 12
--
1.2 Olfactory behavior test 13
--
1.3 RT-PCR 14
--
1.4 Western blot 15
--
RESULTS 17
--
Chapter 1: Olfactory dysfunction behavior 18
--
Chapter 2: Secretases in olfactory (peripheral) and central nervous system 26
--
Chapter 3: Biomarkers for early Alzheimer’s detection through olfactory system 49
--
DISCUSSION AND CONCLUSION 60
--
REFERENCES 65
--
ABSTRACT IN KOREAN 70
--
ACKNOWLEGMENTS 71
--
CURRICULUM VITAE 73
-
dc.format.extent 75 -
dc.language.iso en en_US
dc.publisher DGIST en_US
dc.subject Alzheimer’s disease en_US
dc.subject olfactory system en_US
dc.subject Amyloid precursor protein en_US
dc.subject secretase en_US
dc.subject bi-omarker en_US
dc.title Studies on Proteolytic Processing of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in Olfactory Epithelium using AD Transgenic Mice en_US
dc.type Thesis en_US
dc.identifier.doi 10.22677/thesis.2262511 -
dc.description.alternativeAbstract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에서의 후각 이상은 잘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비정상적인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APP)의 대사로 인해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런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의 공정(APP processing)은 먼저 베타-세크레타아제(β-secretase)로 절단되고 연이어 감마-세크레타아제(γ-secretase) 작용으로 절단되어 과량의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Aβ)를 생성되는 과정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후각 상실이 알츠하이머병의 초기 단계, 특히 중추 신경계 안에서의 베타 아밀로이드 침착도 일어나기 전에 일어나지만 알츠하이머병과 어떤 연관관계를 가지는 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런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를 한다면 알츠하이머병 관련 후각 감각 상실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이를 통한 새로운 생체지표(biomarker)를 찾을 수 있는데 중요하게 작용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를 위해 형질전환마우스(transgenic mouse)인 인간 APP를 과 발현 시킨 Tg2576과 인간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 프리세닐린 1(Presenilin1)를 모두 발현 시킨 Tg6799(5xFAD라고도 불림)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또한 각각의 형질전환마우스에서 인지 감소가 나타난다고 알려진 10개월(Tg2576)과 2개월(Tg6799)시점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상마우스에서 중추 신경계로 대변되는 대뇌 피질이나 후구에 비해 말초 신경계인 후각 상피에서는 베타-세크레타아제, 감마-세크레타아제1, 2의 발현량과 그 작용에서 차이를 보였다. 더욱이 후각시스템은 말초 신경계로서 중추 신경계에서와 다른 형태의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의 공정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알츠하이머병 모델인 두 가지 형질전환마우스에서 후각 시스템 내에서는 감마-세크레타아제2의 발현에서 정상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의 공정에서도 차이가 나타났고 특이적으로 단백질 크기가 25KDa, 55KDa와 80KDa에서 특이적인 패턴이 보였고 이는 후각 상피에서 얻을 수 있는 알츠하이머병의 생체지표 후보가 될 수 있는 새로운 펩타이드 단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후각 상피에서 비정상적인 APP 공정이 진단 지표가 되는 새로운 펩타이드 단편을 생성함을 증명한다. 또한 AD 발병에 결정적이며 아주 초기에 해당되는 시기로 알려진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시기에서 이 펩타이드 단편이 AD를 진단 할 수 있는 생체지표 후보가 될 수 있음을 증명한다. 이러한 생체지표를 이용한다면 AD 조기 진단의 향상을 가져올 것이며 이를 위해 생검(biopsy)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2014 DGIST
-
dc.description.degree Master -
dc.contributor.department Brain Science -
dc.contributor.coadvisor Chang, Keun A -
dc.date.awarded 2014. 8 -
dc.publisher.location Daegu -
dc.description.database dCollection -
dc.contributor.alternativeDepartment 대학원 뇌과학전공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Ameer Abu Bakr Rasheed -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 Moon, Che Il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아미르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문제일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장근아 -
Files in This Item:
000002262511.pdf

000002262511.pdf

기타 데이터 / 2.39 MB / Adobe 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Department of Brain Sciences Theses Master

qrcode

  • twitter
  • facebook
  • mendeley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